스코틀랜드 행 기차를 타고 가는 두 남자의 대화입니다.
남자1 : 선반 위에 있는 것이 무엇입니까?
남자2 : 그것은 맥거핀 입니다.
남자1 : 맥거핀 이요? 어디에 쓰는 물건입니까?
남자2 : 스코틀랜드 고지대에 사는 사자를 잡는데 쓰는 물건입니다.
남자1 : 하지만 스코틀랜드 고지대에는 사자가 없는데요?
남자2 : 아, 그러면 맥거핀은 아무것도 아니로군요.
맥거핀(MacGuffin)이라는 용어는 영화에서 중요하지 않은 단서를 마치 중요한 것처럼 보여주며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기술, 즉 영화의 기교 중 하나 입니다. 맥거핀은 스릴러 영화의 거장, 앨프리드 히치콕 감독으로부터 유래 했습니다. 사건 해결의 중요한 단서 인 것처럼 등장하지만 이야기가 끝나면 그 단서는 아무 의미가 없는 것으로 밝혀 지는 것입니다.
기업의 재무제표와 주가는 관계가 없다.
나에게 있어 기본적 분석은 이 맥거핀과 비슷합니다. 매매에 있어 기본적 분석이 중요해 보이지만 결국은 중요하지 않다는 것 입니다. 물론, 나는 매매하기 전 시간을 투자하여 기업의 기본적 분석을 합니다. 하지만 그 시간은 매우 짧습니다. 기본적 분석이 매매를 결정 하는 데 있어 큰 의미가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기본적 분석이 중요하지 않은 첫번째 이유는 재무제표에 적혀 있는 숫자들이 전부 과거의 사실이기 때문입니다. 어느 기업의 재무제표가 아주 좋아 보이더라도 현재 그 기업의 주가흐름이 좋지 않다면, 어떤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물론 정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 입니다.
두번째 이유는, 기업의 재무재표가 허위로 작성되거나 분식회계를 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이 글을 작성하고 있는 지금도 대우건설의 분식회계 조사 뉴스가 나와 대우건설이 12% 급락하고 있습니다.
주가의 변동은 재무제표보다 기업의 장기적 성장 가능성과 시장 전망에 기반하여 결정됩니다. 시장을 경험하며 깨달은 점은 주가 움직임과 기업의 실질적 수익성 간의 상관관계가 제한적이라는 것입니다. 실제로 주가가 조정을 받는 시기에도 기업의 실적이 개선될 수 있으며, 주가 하락기에도 해당 산업이나 기업은 견고한 성장세를 보일 수 있습니다. 물론 반대의 경우도 자주 발생합니다.
그렇기에 재무제표가 좋지 않더라도 기업이 미래에 긍정적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그 주식을 매수할 수 있습니다. 펀더멘털 분석은 '무엇을' 매매할지, 기술적 분석은 '언제' 매매할지를 판단하는 도구가 되며 기술적 분석과 펀더멘털 분석은 서로를 보완하며 함께 활용할 수 있어야 할 것입니다.
이러한 관점은 분명 투자자들 사이에서 다양한 의견과 논쟁을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결국 투자에서 기본적 분석의 중요도를 어떻게 평가할지는 개별 투자자의 투자 철학과 전략에 따른 지극히 개인적이 선택입니다.
댓글